일상, 생각

오늘의 생각: 러시아-우크라이나 결의안과 국제 관계의 현실

camppro 2025. 2. 26. 07:24
728x90
반응형
반응형

러시아-우크라이나 결의안과 국제 관계의 현실

최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결의안"*이 찬성 93표, 반대 18표, 기권 65표로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반대표를 던진 18개국 중 미국이 포함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러시아, 북한, 이란과 같은 국가들과 한 줄에 놓이며, 미국이 민주주의 수호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실리와 거래 중심의 전략을 택했다는 분석을 낳고 있습니다.

유엔 총회 표결 장면
유엔 총회 표결 장면


미국의 이러한 태도 변화는 국제 사회에서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한국이 우크라이나 문제 및 북미 협상 과정에서 배제될 가능성도 언론에서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단순한 '패싱'으로 볼 것이 아니라,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희토류를 전략적 지렛대로 활용하고, 러시아와 중국의 밀착을 견제하기 위한 계산된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과 러시아 협상 전략은?
미국과 러시아 협상 전략은?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미국이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만약 한국이 국제 외교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중국과 가까워진다면, 이는 미국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영원한 적도, 영원한 우방도 없다”는 외교의 냉혹한 현실을 다시금 확인하는 순간입니다.

사람을 움직이는 말의 힘

 



생각의 방향이 결과를 바꾼다

이처럼 국제 정세가 변덕스럽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일수록,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깊이 해야 합니다.

"내가 할 수 있을까?" → 의심과 불안이 가득한 질문
"어떻게 하면 좋을까?" → 긍정적이고 해결책을 찾으려는 질문


리더십 전문가 존 맥스웰은 그의 저서 *「사람을 움직이는 말의 힘」*에서 사고방식의 전환이 결과를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망설이면 길이 막히고, 한 발 내디디면 길이 열립니다.

국제 관계도, 개인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려운 상황 앞에서 *“할 수 있을까?”*라고 주저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국제 사회 속 한국의 입장도, 개인의 목표도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순간부터 변화할 수 있습니다.

망설이면 길이 막히고, 한 발 내디디면 길이 열린다
‘망설이면 길이 막히고, 한 발 내디디면 길이 열린다'


오늘 하루, 내가 던지는 질문이 나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고민해보는 건 어떨까요?

#국제정세 #유엔총회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미국외교 #지정학 #국제관계 #전략적사고 #생각의전환 #외교정책 #결정의힘 #오늘의생각


728x90
반응형
LIST